WEB 3.0 (NFT)
Last updated
Last updated
에덤은 생태계 참여자 모두가 상호 보완/확장되고 상호 교환 가능한 가치를 가지는 순환형 Web3.0 플랫폼을 구현하고자 합니다. 생태계 참여자들은 생산자이자 공급처의 역할, 때로는 소비자이자 수요처의 역할을 수행하게 됩니다. 에덤의 WEB 3.0생태계는 독립적이고 고유한 영역이 아닌 상호 의존성이 강화되고 생태계 구성원들의 협력을 촉진하는 형태로 발전할 것입니다. 따라서 에덤 생태계 참여자들의 기여로 나온 서비스와 데이터는 제3자가 구매할 수 있을 정도의 가치를 보유하며, 새로운 사용자 경험과 서비스 고유의 가치를 창출할 수 있습니다.
NFT로 구현되는 에덤의 WEB3.0 서비스는 컨텐츠 NFT, 아이템 NFT, POAP NFT 로 구성되며 각각의 NFT 서비스는 아래와 같이 서비스될 계획입니다.
강의, 입시 설명회 등과 같이 실물 서비스 기반으로 타겟층이 명확하며, 단계별 구성도 가능합니다. 콘텐츠 내에 멤버십 보상도 제공이 가능하기에 다양한 결합 상품 서비스도 가능하게 됩니다.
EDUM이 발행한 오프라인 입시 설명회 NFT 완판 기사
EDUM의 App, DEVICE에서 사용되는 아이템 NFT는 게임 아이템 NFT와 유사한 형태로 보유한 NFT 아이템에 따라 다양한 추가 보상을 획득할 수 있습니다. 보유한 NFT 아이템에 따라 따라 채산성, 교환 비율, 횟수 등이 증가하며, 아이템 조합으로 추가 혜택도 받을 수 있기에 효율적이며 선택적인 수익을 획득할 수 있습니다.
“STUDY RICH” 아이템 NFT 예시
a. 펜 NFT : 레벨에 따라 구매 가능한 아이템. 고유한 값(교환 비율)을 갖고 있으며 NFT의 등급(희귀도)에 따라 타이머 시간을 증가.
b. 카메라 NFT : 타이머와 연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채산성(획득)과 연계된 아이템. 보유한 카메라 등급에 따라 보상 획득 비율이 차등 적용
POAP는 일종의 디지털 신원 증명서(DID)로써 발행자의 학력, 경력, 업적 등을 NFT로 인증할 수 있습니다. 발행자의 평판과 업적, 그리고 사회적 가치와 특별한 메시지를 담고자 하는 행위를 POAP(Proof of Attendance Protocol) NFT에 담아 객관적으로 보여질 수 있도록 해줍니다. 여타 NFT와는 달리 개인간 거래는 불가능하지만 취업 및 인재 플랫폼처럼 신원 증명이 필요한 기업에게는 신규 수익 창출과 LTV 증대 등 새로운 서비스 패러다임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하며, EDUM은 구인/구직자 모두에게 실질적인 매출을 발생할 것으로 기대합니다.